북한 IN

차 한 잔으로 남북의 마음 열기

북한에 차(茶)가 있다고 하면 열 명 중 아홉 명은 믿지 못한다. 먹고 살기도 힘든데 가당치 않다는 반응이다. 필 자 또한 북한의 『차문화의 력사』1라는 책을 접하기 전에 는 불가능하다는 생각을 했다. 그러나 기후의 변화로 따뜻한 남도 지역에서 자라던 차나무가 북상하여 강원도 고성 지역에서도 녹차를 재배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 북한의 차문화에 관한 자료들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처음 북한에서 차를 재배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 너무나 반가웠다. 이북 지역은 추운 기온 때문에 차나무 의 생장이 어려운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다. 그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야외에서 차를 자연적으로 자랄 수 있도록 했다는 것은 엄청난 불굴의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 다. 차나무의 연구가 진행되던 시기는 소위 ‘고난의 행군’ 이라 일컬어지던 시기도 포함되는데, 어떻게 연구를 포 기하지 않고 진행했을까.

북한에서는 어떤 차를 마실까?

차와 관련된 북한의 신문과 서적을 보면 북한사회의 문명한 생활에 대한 목표의식과 정치체제에 필요한 스토리에 차문화 의식, 또 유훈통치 방식의 정책 실현이라 는 것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음을 볼 수 있다.

평양을 중심으로 녹차와 커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다. 녹차는 건강을 생각해서 북한 주민들이 선호하지만 파는 곳이 제한적이다. 평양 지역 에서 거주하던 20~30대 청년들에게 이야기를 들어보면 학생들은 시험을 앞두고 수면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커피를 즐겨 마신다고 한다. 시장에서 맥스웰 블랙 한 병 에 보통 만 원 가량 하는데, 비싼 가격임에도 구입해 마신다. 또 다른 청년은 시력이 나빠서 매일 어머니께서 결명자를 차로 끓여주셨다고 했다. 북한 주민들 인터뷰를 종합해보면 커피믹스나 커피는 전 지역의 장마당이나 중국과의 왕래 등을 통해 접해본 사람이 많고 한 잔이라도 마셔본 경험이 있었다. 오미자나 구기자, 솔잎 등을 채취 하여 말렸다가 겨울을 전후하여 감기 예방의 목적으로 마시기도 한다.

북한에서 차나 커피를 마실 수 있는 곳은 평양의 영광 거리, 창광거리, 창전거리에 있는 은정찻집이 있으며 고려호텔, 평양호텔, 양각호텔 등 호텔커피점, 평양시내의 별무리카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거리의 매대에서도 녹차와 홍차, 커피 등을 판매하고 있다.

북한에서 차문화는 중산층 이상의 사람들 사이에 형성되고 있는데, 녹차와 커피를 마시는 것으로 차별성을 가지려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보면 인삼차 같은 건강음료, 강장음료 등의 약차들이 인기가 많다. 함경도 출신의 북한 주민들은 찔광이(산사초)와 만병초를, 황해도 출신의 북한주민은 감잎차와 솔잎차를 자주 마셨다고 하였다.

북한의 서적이나 신문기사 등 정기간행물을 살펴보면 녹차와 홍차, 그리고 우롱차를 생산하고 있으며 녹차를 우리 차라고 여기고 있다. 꽃차도 만들어 마시는데 장미 꽃차는 미용에 특히 좋은 차라고 소개하고 있다. 장미 꽃차는 평양인근에 100여㏊의 장미꽃밭을 두고 류경장 미 가공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다. 2018 조선상품 카탈로그를 살펴보면 개성과 평양 인근 여러 회사에서 인삼차를 비롯한 여러 가지 대용차를 다양하게 생산하고 있다. 우리의 커피믹스를 카피하여 커피믹스를 생산하고 있는 데, 마셔본 사람들은 중국에서 카피한 것보다 훨씬 더 남한 커피믹스와 맛이 비슷하다고 한다.

차 한 잔의 인연으로 여는 남북문화 교류

남한과 북한의 차문화는 내용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한반도의 차문화 역사를 함께 써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과거 역사 속에서 함께 공유하고 향유했던 차문화를 미래지향적, 전향적 관계로 정의 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려시대의 차문화 연구만 보더라도 남한은 분단으로 인한 현지조사와 정보의 차단으로 차문화 전승과 연구의 한계를 노정하였고, 북한은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이제서야 차문화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현재 북한은 평양과 몇몇 대도시를 중심으로 지역 균등발전을 모색하면서 해당지역의 특성에 맞는 발전전략 을 지시하고 실천해 나가고 있다. 그 가운데 한반도 허리 에 해당하는 동쪽의 강원도 고성과 서쪽의 황해도 강령 지역에 차밭을 조성하여 재배와 생산, 그리고 다양한 상품의 연구 개발을 하고 있다. 두 곳의 차밭에서 재배되는 차를 가공하여 녹차와 홍차, 우롱차(화차)를 생산하고 유통시키고 있다.

2018년 4월과 9월의 남북 정상회담 만찬에도 북한은 강령녹차를 빠뜨리지 않고 메뉴에 넣었다. 이는 북한 당 국이 차(茶)를 우리 민족의 고유한 문화유산으로 여기며, 귀하고 소중히 생각하여 그들 스스로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다는 뜻으로 사료된다. 차에 대하여 갖는 정책과 생각이 이 정도라면 차 한 잔으로 닫힌 남북 주민의 마음을 열고 차 한 잔 인연으로 이어갈 수 있는 남북문화 교류의 단초가 될 수 있지 않을까.

곽 미 숙 곽 미 숙
남북차문화교류협의회장

카카오톡 아이콘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스토리 아이콘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