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29일 교황청을 방문해 프란치스코 교황을 단독 면담한 문재인 대통령.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교황에게 방북을 요청했다. ⓒ청와대

분석

교황과 한반도 평화
만남과 협력이 화해의 길 여는
모멘텀 되길



지난 10월 29일 문재인 대통령이 바티칸에서 교황을 면담하고 방북을 제안했다. 한반도 평화에 교황이 갖는 상징성은 무엇일까.
교황과 한반도 평화의 역사를 정리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전 세계 가톨릭을 대표하는 수장이면서, 바티칸이라는 작은 도시국가의 수반이기도 하다. 본명 호르헤 마리오 베르고글리오인 그가 2013년 3월 13일 제266대 교황으로 선출된 순간부터 온 세계의 이목은 그에게 집중되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당시 동유럽 공산국가인 폴란드 출신이란 점에서 세계를 놀라게 했다면, 프란치스코 교황은 비 유럽권, 그것도 남반구인 남미 아르헨티나 출신이란 점에서 또 한 번 세상을 놀라게 했다.

  교황 선출로 부여받게 되는 새로운 이름을 그 스스로 이전 교황들은 한 번도 사용해 본 적 없는 ‘프란치스코’로 택했다는 점도 특별했다. 그는 교황에 선출되는 순간 평화의 사도인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를 떠올렸는데,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프란치스코 교황이 보여준 행적은 그가 명실상부한 ‘21세기의 평화 사도’로 불리어도 손색이 없음을 보여준다.

공산주의와의 대화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는 북한 공산주의와의 대화가 필수적이다. 이런 의미에서 교황의 방북은 가톨릭과 북한 공산주의와의 대화를 통한 관계 개선을 목표로 삼는다. 18세기 이후 철저한 반공이었던 가톨릭은 20세기 후반에 개최된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해 공산주의와 대화하는 길을 열면서 미·소 냉전을 종식시키고 세계평화를 여는 마중물이 되었다.

  가톨릭은 근대사회의 산물인 사회주의, 공산주의와 철저히 벽을 쌓았었다. 무신론과 유물론으로 무장한 공산주의는 종교비판을 그 근거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가톨릭의 사생아나 마찬가지였기 때문이다. 특히 19세기의 가톨릭은 근대화에 동력을 제공한 산업화와 이를 뒷받침한 자본주의의 폐해를 비판했던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의 물결을 엄격히 단죄했다. 이는 지리상의 발견 이후 서구의 식민지 개척을 선교 확장의 새로운 계기로 삼아 중세 질서로의 복고를 지향했음을 뜻했다.

  그 흐름을 바꾸어 놓은 것이 교황 요한 23세이다. 그는 1958년 10월 교황으로 선출된 지 불과 3개월 만인 1959년 1월에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소집을 공포했다. 1962년 10월 11일부터 1965년 9월 14일까지 3년에 걸쳐 진행된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현대 가톨릭교회의 개혁·개방을 이루었다. 교황 요한 23세가 공의회의 결실을 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자 후임으로 선출된 교황 바오로 6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한 가톨릭의 변화를 ‘교회의 자기이해의 변화’로 풀이하고, 이제 교회는 누구도 배타하지 않으며 또 누구도 ‘교회의 적’이 될 수 없다고 공언했다. 가톨릭은 이념을 포함한 현실의 족쇄를 벗어버리기 시작한 것이다. 이처럼 스스로 자유로워지면서 가톨릭은 공산주의에도 대화의 손을 먼저 내밀 수 있었다.

2014년 8월 한국을 방문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냉전의 섬 한반도에 진정한 평화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사진은 같은 해 8월 16일 광화문에서 진행된 시복식ⓒ 연합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한국 방문
  1984년 5월 3일 한국을 처음 찾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김포공항에 도착한 뒤 비행기 트랩을 내려와 엎드려 땅바닥에 입을 맞추었다. 외국 국가원수가 방문하면서 이런 예를 갖춘 경우는 없었다. 그는 1980년에 전두환 대통령에게 공식 서한을 보내 사형수로 복역 중인 김대중에 대한 선처를 호소했고, 결국 김대중이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자 이에 감사하는 공식 서한을 보내면서 방한 이전에 한국과 인연을 맺은 바 있다. “혹독한 시련에도 민족의 정통성을 꿋꿋이 지켜온 한국의 역사가 모국 폴란드와 닮았다”고 술회한 요한 바오로 2세는 1984년에 이어 불과 5년 만인 1989년 10월에 또 다시 한국을 방문할 정도로 한반도에 대한 애정이 깊었다. 첫 방문 시 마지막 행사로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젊은이들과의 대화에서는 젊은이들이 “군사독재 정권의 폭압을 알리겠다”며 들고 온 최루탄 상자를 흔쾌히 받기도 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첫 한국 방문 후 바티칸은 적극적으로 북한과 중국에 접근하려는 노력을 구체화하기 시작했다. 특히 북한이 1984년 ‘합영법’* 을 제정하면서 자본주의 세계와의 접촉을 타진하기 시작하자 바티칸은 비공식 루트를 통해 북한에 경제 원조를 제공하며 북한 당국과의 대화 채널을 만들기 시작했다.
* 합영법
북한이 외국과의 경제·기술 교류 및 합작투자를 목적으로 제정한 법

  북한과 비공식 접촉을 이어가던 바티칸은 북한이 활발한 활동을 벌이던 비동맹회의에서의 공식 접촉을 모색했고, 1987년 6월 평양에서 개최된 비동맹각료특별회의에 바티칸 대표단(단장 주세페 베르텔로 몬시뇰)을 파견하게 된다. 이때 바티칸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가한 장익 신부(후에 주교로 서품되어 춘천교구장 역임)는 평양에 있는 조선기독교도련맹 사무실에서 5명의 천주교 신자들을 만나 그동안의 소식을 듣고, 1989년 10월 서울에서 개최되는 제44차 세계성체대회에 초대했다.

  비록 북한 천주교 신자들이 요한 바오로 2세가 다시 방한했던 서울세계성체대회에는 참가하지 못했지만, 요한 바오로 2세는 이들을 1988년 부활절에 바티칸으로 초대해 북한 신자를 직접 만나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에 호응하듯 북한에서도 1988년 6월 조선천주교인협회(1999년에 조선카톨릭교협회로 명칭 변경)가 발족했다. 이런 맥락에서 한국 가톨릭교회는 교황의 방한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 교황의 방북을 통해 바티칸과 북한 사이의 관계개선과 남북 가톨릭 사이의 관계정상화를 기대해 왔다.

지난 10월 29일 이탈리아 로마 산티냐시오 디 로욜라 성당에서 열린 ‘철조망 평화가 되다’ 전시회에서 만들어진 한반도 ⓒ청와대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북과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초기부터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북 성사를 위해 공을 들여왔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북으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을 위한 여건 조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2014년 8월에 한국을 방문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냉전 해체 이후에도 ‘냉전의 섬’으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 진정한 평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전 세계에 알렸고, 남과 북 모두에게 “이제 대화하고, 만나고, 차이점들을 넘어서기 위한 새로운 기회들이 샘솟듯 생겨나도록” 노력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용서야말로 화해로 이르는 문”임을 강조했다. “한 가정을 이루는 이 한민족의 화해”를 기도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염원은 북·미대립과 남남갈등 속에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에 온 힘을 기울인 문재인 대통령에게 항상 용기를 불어넣는 힘이 되었음이 분명하다. 실제로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8년 2월 16일 이백만 신임 교황청 주재 한국대사의 신임장을 받는 자리에서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이루어진 남북관계 진전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문재인 대통령이 대내외적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음을 인지하고 있다. 항상 문 대통령을 응원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한반도 평화 모멘텀” 성사의 길
  문재인 대통령은 2018년 9월 평양 정상회담을 갖고 평양공동선언에 합의한 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안착하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유럽 5개국 순방 과정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을 예방했다. 그는 백두산 천지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으로부터 교황 초청 의사를 확인했다는 사실을 직접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전달했다. “공식 초청장을 보내주면 좋겠다. 초청장이 오면 무조건 응답을 줄 것”이라고 프란치스코 교황이 화답했지만,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노딜 충격으로 인해 더 이상의 진전을 보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 대통령은 지난 10월 29일 프란치스코 교황과의 2번째 예방을 통해 교황의 방북이 “한반도 평화의 모멘텀이 될 것”임을 강조하면서 다시 한번 교황의 방북을 요청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이번에도 초청장이 오면 “평화를 위해 나는 기꺼이 가겠다”고 굳은 의지를 표명했다. 특히 G20 로마 정상회의에 바이든 미 대통령도 참가해 프란치스코 교황을 예방했기 때문에 문 대통령의 바티칸 방문은 더욱 이목을 집중시켰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4년에 한국을 방문한 후 1년만인 2015년 9월에 쿠바와 미국을 연쇄 방문하면서 미국과 쿠바 사이에 화해의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또 한번 남·북·미 간 화해의 길을 여는 교황의 역할을 기대하게 된 것이다.

  한반도 평화의 길을 여는 교황의 역할에 대한 기대는 2000년 3월부터 쭉 이어져 왔다. 김대중 대통령이 취임 2년 만에 바티칸을 국빈 방문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를 예방하면서 한반도 평화를 위한 교황의 방북을 처음 제안했다. 2007년 2월 노무현 대통령도 바티칸을 공식 방문해 교황 베네딕토 16세에게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번영정책에 대한 지지를 호소했다. 이명박 대통령도 2009년 7월에 교황 베네딕토 16세를 면담했고, 박근혜 대통령은 2014년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 시에 만난 후 같은해 10월에 바티칸을 예방해 다시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대한 관심과 기도를 부탁했다.

  20년에 걸친 대한민국 국가수반과 바티칸 국가수반의 만남과 협력이 꽃을 피워 한반도 평화와 화해의 길을 여는 새 모멘텀이 되기를 기원하는 마음이 간절하다.

변진흥 코리아연구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