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회의 여성위원회 ‘통일공감 강연회 및 북한음식 체험’ 사업. 대구 여성위원 50여명은 지난해 12월 4일 대구 동촌신협에 모여 ‘북한의 생활 및 북한 여성의 삶 이해하기’라는
서울지역회의 여성위원회 ‘탈북민과 함께하는 역사문화체험’. 서울 여성위는 지난해 12월 7일 서울 여성위원과 탈북 여성시민 60여 명이 모인 가운데
광주지역회의 여성위원회 ‘시의 향기로 통일을 노래하다’. 광주 여성위는
광주재능시낭송협회와 협업으로 지난해 12월 7일 200여명이 모인 가운데
시민과 함께하는 통일 시 낭독 시간을 가지며 통일 공감대를 확산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보냈다.
이북5도지역회의 여성위원회 ‘전통 문화 속의 여성 통일공감 한마당’.
이북5도 여성위는 지난해 11월 17일 이북도민 여성대표와 여성 자문위원이
모여 북한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문화 체험 시간을 통해 통일 공감대를
확산하는 시간을 가졌다.
세종지역회의 여성위원회 ‘통일 대북정책 공감 워크숍’. 세종 지역 여성 100여 명은 지난해 11월 20일 통일 문화 공감 공연 관람 및 강연을 통해
충남지역회의 여성위원회 ‘여성 통일공감 한마당’. 자문위원과
북한이탈주민, 지역 주민 150여 명은 지난해 10월 27일 ‘북한이탈여성의
정착과정 이야기’ 토크 콘서트와 통일 퀴즈대회를 통해 통일 문화 공감대를
형성했다.
대전지역회의 여성위원회 ‘먼저 온 통일과 함께하는 맛있는 통일 이야기’.
대전 여성위는 대전지역 내 협의회별로 5회에 걸쳐 여성위원과 탈북 여성간
멘토링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전통음식(숨두부) 만들기’ 체험 시간을 통해
통일 공감대 형성 및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충북지역회의 여성위원회 ‘탈북민과 함께하는 평화공감 토론회’. 충북지역 여성위원과 탈북 여성, 지역 여성단체 임원 70여 명은 지난해 12월 5일
울산지역회의 여성위원회 ‘여성리더가 함께하는 통일좌담회’. 울산지역 여성위원, 여성단체, 탈북민, 지역민 120여 명은 지난해 11월 22일 ‘북한 여성의
경기지역회의 여성위원회 ‘평화로 가는 플랫폼’. 경기지역 여성위원 200여 명은 지난해 11월 22일 ‘북한 인권과 미래 통일 준비’를 주제로 강연회와
강원지역회의 여성위원회 ‘여성이 함께하는 평화공감 토론회’. 강원지역 여성위원 110여 명은 지난해 12월 5일 ‘통일·대북정책과 여성의 역할’을 주제로
제주지역회의 여성위원회 ‘여성위원 통일공감 워크숍’. 평화의 섬 제주지역 여성위원 60여 명은 지난해 11월 17일 ‘통일공감’ 사행시 짓기 및